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반생물학실험] 3. 원생생물 관찰

SMALL

1. 이론

원생생물은 진핵도메인의 4개계 중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이다.

원생생물중 어떤 것은 광합성 영양생물이고, 어떤 것은 종속영양생물이다.

 

  1. 유글레나류

1/3은 독립영양생물. 그 외는 종속 영양생물

길이 10=50um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원형질막 안에는 서로 연결된 단백질성 띠가 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외피는 신툭적이므로 유글레나류는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유글레나류속에서는 2개의 편모가 몸의 앞 끝에 있는 플라스크 모양의 저장소의 기부에 부착해 있다.

 

    2. 섬모조초류

많은 수의 섬모를 가지고 있는 섬모충류는 길이가 10-3000um로 단세포 종속 영양생물이다. 이들의 섬모는 세포 주위에 종으로 배열하거나 나선상으로 배열한다.

섬모충류는 음식을 섭취, 소화하고 수분이 균형을 유지하는 액포를 가진다.

대부분의 섬모충류와 마찬가지로 짚신벌레는 접합이라는 유성생식을 한다. 

 
 
SMALL

2. Materials

짚신벌레 배양액, 유글레나 배양액, 일반광학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원생생물의 움직임을 느리게 한다), 피펫

 

3. 실험방법

1. 짚신벌레

1) 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원생생물의 움직임을 느리게 한다)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고리모양으로 놓는다.

2) 고리 모양안에 배양액 부유시킨 후 한방울 떨어뜨림

3) 커버글라스 덮고, 저배율에서 고배율 관찰

4) 짚신벌레 스케치, 각 구조 명칭 기잎

 

2. 유글레나 관찰

같은 방법으로 한다.

 

4.실험결과

짚신벌레 , 유글레나 

 

5. discussion

짚신벌레와 유글레나는 빠르게 움직여서 관찰하기 힘드므로 메틸셀룰로오스라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고리 모양으로 바른 후 그 안에 짚신벌레나 유글레나를 떨어뜨려 관찰해야 한다

이 때 가운데 홈이 파여있는 홀 슬라이드 글라스드를 이용하면 관찰에 용이하다.

 

짚신벌레의 외피와 섬모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짚신벌레는 몸 전체에 나 있는 섬모를 이용하여 빠르게 이동한다. 짚신벌레의 앞쪽은 둥글고 뒤쪽은 원추형으로 뾰족한 모습을 볼 수 있고 이 모습이 짚신과 닯아 짚신벌레라 한다.

위상차 현미경이나 성능이 더 좋은 현미경으로 짚신벌레 관찰하면 소핵, 대핵, 수축포, 식포, 식도, 세포 항문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유글레나를 관찰할 때는 작은 덩어리들이 여러개 뭉쳐 있는 형태로 관찰하였다.

또한 초록빛을 띤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유글레나가 체내에 엽록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LIST